조문 방법, 조문 예절
조문은 조상, 문상을 합친 말입니다. 조상은 고인의 죽음을 슬퍼하고 빈소에서 예를 갖추는 것이고, 문상은 상주를 위로하는 것을 뜻합니다. 그러므로 장례시장에 갈 때 문상 간다고 하는 것보다 조문 간다고 표현하는 것이 정확하다고 합니다. 조문 갈 때 갖춰야 할 예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조문 순서
1. 장례식장에 도착 후 조객록에 서명하고 문 밖에서 모자, 외투 등을 미리 벗고 들어갑니다.
2. 상주에게 목례를 가볍게 한 후 헌화 또는 분향을 합니다. 단체로 갈 경우 대표자 한 명만 하는 것이 좋습니다.
3. 분향할 때 선향(막대향) 일 경우 1~3개를 잡고 불을 붙여 왼손으로 가볍게 흔들어 끕니다. 절대 입으로 불어서 끄면 안 됩니다. 향은 두 손으로 향로에 꽂습니다. 선향은 하나로 충분하지만, 여러 개를 꽂을 경우 하나씩 나눠 꽂습니다.
4. 헌화는 오른손으로 꽃을 들고 왼손으로 꽃을 받쳐 꽃봉오리가 영정 쪽으로 향하게 둡니다.
5. 영좌 앞에서 두 번 절을 하거나 잠깐 묵념을 합니다. 절을 하기 전에는 두 손을 앞으로 모아 잡는 공수자세를 취하는데요. 공수 자세는 성별에 따라 다르고 평상시와 흉사 시에도 다릅니다. 조문 시 남자는 오른손이 위로 가도록, 여성은 왼손이 위로 가도록 하여 절을 두 번 합니다.
6. 영좌에서 물러서서 상주와 맞절 또는 고개를 숙여 예를 표합니다. 평소 친분 있는 사이라면 상주에게 조문인사말을 건네는데 낮은 목소리로 말을 해야 하며 고인과 관련된 이야기는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7. 조문을 끝내고 나올 때에는 두세 걸음 정도 뒤로 물러난 후 몸을 돌려 나옵니다.
절하는 방법
- 남자

1. 오른손을 위로하여 공수한 손은 허리선에 두고 바른 자세로 선다.
2. 손바닥은 바닥을 향하고 눈은 발등을 향하게 하여 공수한 손을 눈높이로 들어어 올린다.
3. 왼발을 조금 뒤로 빼며 공수자세의 손을 바닥에 대고 무릎을 꿇는다. 무릎을 꿇을 때는 왼쪽 무릎을 먼저 꿇은 다음 오른쪽 무릎을 꿇는다.
4. 몸은 앞으로 숙여 절한다.
- 여자 큰절

1. 왼손을 위로하여 공수한 손을 허리선 부분에 두고 바른 자세로 선다.
2. 공수자세의 손을 손바닥을 바닥을 향하게 하고 눈은 발등을 바라보며 눈높이로 올린다.
3. 공수한 손을 눈높이에 두고 무릎을 꿇는다.
4. 몸을 숙여 절한다.
- 여자 평절

1. 왼손을 위로하여 공수한 손을 허리선 부분에 두고 바른 자세로 선다.
2. 공수한 손을 풀고 바로 선 자세에서 무릎을 꿇는다.
3. 양손 모두 무릎 앞 양 옆의 바닥을 짚고 숙여 절한다.



조문 옷차림
조문 시 가능한 무채색의 단정한 옷을 입고 가야 하며 화려하거나 장식이 많은 옷은 피해야 합니다.
남성 조문객의 경우, 보통 검정 정장을 많이 입지만 정장이 없을 경우 감색, 회색도 무방합니다. 화려한 와이셔츠는 피하고 넥타이도 검은색계열의 넥타이를 착용하거나 없으면 하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여성 조문객의 경우, 검은색 옷에 검은색 구두를 신는 것이 좋으며 맨발이 보이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화려한 가방이나 액세서리 또한 주의해야 하며 화려한 가방도 들고 가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부의 봉투 작성법
- 조의금 봉투에 '부의(賻儀)'라고 작성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 외에 조의, 전의, 근조, 향촉대라고 스기도 합니다.
- 조의금 봉투 안에 부조하는 물건의 수량 또는 이름을 적은 종이를 뜻하는 단자를 써두는 것이 좋습니다. 보통 하얀 종이에 쓰는데 단자를 접을 경우 세로로 3번, 아래 1cm를 남긴 후 가로로 접어 올립니다. 부조하는 물품이 돈일 경우 단자에 '금 XX원'이라고 작성합니다.
- 부조하는 사람의 이름 뒤에는 아무것도 안 써도 되고 근정, 근상이라고 작성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조의금은 분향소에 들어가거나 나올 때 해야 하고 상주에게 직접 건네지 않습니다. 조의금을 낸 후 방명록을 쓸 때에 세로로 이름을 써야 합니다.


조문 시 주의사항
1. 집안 풍습, 종교가 다르더라도 상가의 가풍에 따르고 참견하지 않습니다.
2. 고인의 사망원인 등에 대해 자세히 묻지 않습니다.
3. 상가에서 지인과 이야기할 때 목소리를 낮춰 조심히 말하고 조문이 끝난 뒤 밖에서 따로 이야기를 나눕니다.
4. 상주와 상제에게 악수를 청하지 않습니다. 상주가 어리더라도 반말하거나 예의 없이 행동하지 않습니다.
5. 유가족에게 계속 말을 시키는 것은 실례되는 행동이므로 주의합니다.
'아카이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한민국 경찰 계급 그리고 경찰의 인권 (1) | 2023.01.11 |
---|---|
고대 메소포타미아 문명 (0) | 2023.01.04 |
새해부터 달라지는 것들 (2023년) (0) | 2023.01.02 |
노란 봉투법이란 무엇일까? (0) | 2023.01.02 |
마녀의 게임 등장인물 관계도 몇부작 (0) | 2022.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