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카이브

할로윈데이 (Halloweenday)

반응형

할로윈데이(Halloweenday)

할로윈데이는 영미권의 전통행사이지만 요즘은 여러 나라에서할로윈데이를 즐기고 있습니다. 할로윈데이의 유래와 할로윈데이에는 왜 귀신이나 유령복장의 코스프레를 하는지, 아이들이 사탕을 받으러 돌아다니는 이유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할로윈데이(Halloweenday) 호박

할로윈데이(Halloweenday) 복장과 사탕

할로윈데이에는 다양한 복장을 한 사람들의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마녀나 악마, 유령, 귀신 등 무시무시한 모습으로 분장을 합니다. 그 이유는 할로윈데이는 켈트인 전통 축제인 사윈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켈트족들은 1년의 마지막 날 음식을 차려 죽음의 신에게 제사를 올려 그들을 달래고 악을 쫓는 풍습이 있었는데요. 이때 이 악령들이 무서웠던 사람들이 자신들이 사람이라는 것을 감추기 위해서 악령의 모습으로 꾸며 착각을 하게 만드는 풍습이 있었습니다. 요즘은 꼭 귀신이나 유령의 모습이 아니더라도 영화나 만화 속 캐릭터나 제복 등을 입고 코스프레를 하기도 합니다.  그다음 할로윈 하면 떠오르는 것은 바로 사탕일 것입니다. 분장을 한 아이들이 마을을 돌아다니며 집마다 "trick or treat"을 외치는데요. 이 말의 뜻은 사탕을 주지 않으면 골탕을 먹이겠다는 뜻입니다. 이 놀이의 유래는 중세시대에 특별한 날 집집마다 돌아다니는 가난한 사람들에게 먹을 것을 나누어주던 풍습에서 유래된 것이라고 합니다.

할로윈데이(Halloweenday) 호박

할로윈데이하면 유명한 것 중에 또 호박이 있습니다. 호박의 속을 파내고 껍질에는 눈, 코, 입을 새겨서 안에 초를 넣고 조명을 만드는 것인데요. 잭 오 랜턴(Jack-O-Lantern)이라고 부릅니다. 옛날에는 호박이 아닌 순무를 이용하여 만들기도 했습니다. 잭 오 랜턴은 귀신을 쫓는 의미로 만들었었는데요.  요즘에는 할로윈데이라도 아무 집이나 사탕을 준비해두지 않기 때문에 아이들은 호박이나 거미 등이 장식이 있는 집을 찾아다닙니다. 아이들에게 사탕이 있다는 것을 알려주기 위해 집 앞에 호박을 두고 장식을 해두기도 합니다.

할로윈데이(Halloweenday) 행사

할로윈데이에는 위에서 언급한 잭오랜턴 만들기, 트릭 어어 트릿 외에도 다양한 행사들이 이루어집니다. 할로윈 퍼레이드와 가장무도회, 사과 건지기 놀이 등이 있습니다. 사과 건지기 놀이는 아이들이 마을을 돌아다니며 모은 사탕과 과자들을 모아 파티를 열 때 물이 찬 대야에서 손을 사용하지 않고 입으로 사과를 건지는 놀이입니다. 음식은 호박으로 만든 파이나 달콤한 간식을 먹고 거미나 박쥐, 눈알 등 징그러운 모습의 젤리나 사탕을 만들기도 합니다.